• HOME>
  • 커뮤니티>
  • 정보게시판
  • 카카오톡실시간상담
  • 와이드배관용접학원블로그바로가기

전화상담

031-8092-9494

010-8983-1900

[2015] 하반기 캐나다 경제 전망
File :
작성자 : 관리자 2015-10-16

2015. 6캐나다, 하반기 경제 전망

 

- 2분기 이후 경제 회복 예상 -

- 국제유가 하락으로 수출입 감소 -

 

캐나다 주요 거시경제 지표 (단위: 달러, %)

 

구분

2012

2013

2014

2015

정부부채/GDP

87.9

87.7

86.5

87.0(4)

경제성장률

1.7

1.6

2.4

0.2(3)

물가상승률

0.9

1.2

1.7

1.0(4)

실업률

7.3

7.2

6.9

6.8(4)

환율(C$/$, 연평균)

0.99

0.94

0.87

0.81(4)

수출실적

4,553

4,582

4,753

1,024(3)

수입실적

4,623

4,618

4,631

1,028(3)

외환보유고

681

719

728

772(5)

: 2015 5월 기준 최신 자료

자료원: 캐나다 통계청, 캐나다 중앙은행, IMF, Royal Bank of Canada

 

□ 경제 동향

 

(경제성장률) 국제유가 폭락으로 인해 1분기에는 0.2%로 경기 침체

- 중앙은행에 따르면 올 상반기에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받겠지만 2분기 이후에는 미국의 수요회복 등 여러 긍정적인 요인으로 1.8%로 상승, 연간 2.8% 성장 예상

 

(물가) 1분기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1%로 안정적

- 당분간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제기되지 않을 것이며 물가상승률이 낮아진 이유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한 연쇄효과 때문으로 보임.

 

(환율) 2015년 캐나다 달러는 미화 대비 79센트선을 유지할 전망

- 이는 현수준 대비 3센트가량 낮은 수치

- 1분기 이후 시장은 루니화를 구매하려는 방향으로 전환되며, 이는 캐나다 달러의 상승세를 이끌 것으로 보임.

 

(금리) 올해 추가 금리 인상 없을 듯

- 올해 1월 중앙은행은 국제유가 폭락으로 인해 캐나다의 대표적인 수출물품인 석유산업이 위기를 겪고 전반적인 경제가 침체에 빠질 것으로 판단, 기준금리를 기존의 1%에서 0.75%로 인하

- 캐나다 중앙은행의 금리정책은 미국의 상황과 연동되는 경우가 많은 편. 미국 연방준비 위원회의 금리 인상 전까지는 캐나다 중앙은행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

 

(실업률) 2014 5월 기준, 실업률은 6.8% 3달 연속 보합세

- 업종 및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임. 도소매업과 운송·물류, 교육 서비스 업종에서 취업이 활발한 반면 건설, 농업 및 공공 부문에서 부진

- 대표 산유지역인 알버타주가 유가 하락으로 인해 피해가 가장 크며 14000개의 일자리가 급감한 반면, 제조업 강세 지역인 퀘벡주는 파트타임제 일자리가 17000개 늘어남.

(민간 소비)저유가 영향으로 소비증가

- 1/4분기 국내 소비자 지출은 지난해 동기에 비해 6%나 증가했고, 주택 개보수, 의류, 외식 부문이 증가

- 2014년 말 이후 미국의 경기회복이 본격화되면서 에너지 및 광물자원의 수출 증가로 이어졌으며, 민간 소비심리가 회복되면서 비필수적인 부문에 대한 지출이 지속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.

 

(수출입)국제유가 하락으로 수출입 감소

 

캐나다 연도별 수출입 (단위: 백만 달러, %)

 

구분

2011

2012

2013

2014

2015(3)

증감률

(2015/2014)

수출

451,621

455,398

458,262

475,265

102,473

-9.6

수입

451,579

462,303

461,836

463,096

102,824

-5.1

무역수지

41

-6,905

-3,575

12,169

-351

-106.9

 

- 국제 유가하락으로 인해 제품 가격 하락으로 수출입이 전체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

- 자원 수출, 완제품 수입의 캐나다 수출입 특성으로 인해 국제 유가 등 원자재 가격 및 루니 가치 하락으로 인해 수출이 더 감소

 

캐나다의 주요 국별 수출 현황 (단위: 백만 달러, %)

 

순위

국명

2012

2013

2014

2014(13)

2015(13)

증감률

(2015/2014)

1

미국

339,352

347,684

364,967

87,914

79,105

-10.0

2

중국

19,376

19,903

17,554

3,985

3,530

-11.4

3

UK

18,769

13,558

13,784

3,070

3,486

13.5

4

일본

10,363

10,324

9,723

2,258

1,889

-16.4

5

멕시코

5,389

5,229

4,985

1,135

1,178

3.8

6

홍콩

2,473

4,767

4,164

1,576

1,105

-29.9

7

한국

3,716

3,399

3,791

866

739

-14.7

8

이탈리아

1,709

1,896

3,777

868

329

-62.0

9

네덜란드

4,562

3,462

3,481

681

663

-2.6

10

벨기에

2,311

2,420

3,192

725

463

-36.1

총계

455,398

458,262

475,346

113,411

102,472

-9.6

자료원: 캐나다 통계청

 

캐나다의 주요 국가별 수입 현황 (단위: 백만 달러, %)

순위

국명

2012

2013

2014

2014(13)

2015(13)

증감률

(2015/2014)

1

미국

234,006

240,621

251,690

58,945

55,395

-6.0

2

중국

50,748

51,202

53,111

11,682

12,544

7.4

3

멕시코

25,537

25,953

26,104

6,029

6,039

0.2

4

독일

14,305

14,953

14,452

3,313

2,972

-10.3

5

일본

15,033

13,335

12,039

2,952

2,990

1.3

6

UK

8,545

8,182

8,307

1,698

2,037

20.0

7

한국

6,376

7,125

6,565

1,687

1,603

-5.0

8

이탈리아

5,227

5,661

5,810

1,348

1,255

-6.9

9

프랑스

5,019

5,229

5,361

1,232

1,255

1.9

10

대만

4,584

4,578

4,187

964

1,060

9.9

 

총계

462,303

461,836

463,133

108,316

102,824

-5.1

자료원: 캐나다 통계청

 

□ 한∙캐 교역현황 및 시사점

 

2015 4월 기준 한국의 캐나다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.5% 하락한 16억 달러, 수입은 13.2% 하락한 14억 달러 기록

- 3월까지의 수출·수입 누적액을 살펴보면 전년 대비 모두 감소

- 국제 유가 하락에 따른 수출입제품 가격인하로 수출입액 감소 부분을 감안하면 수출은 전년 수준, 수입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보임.

 

○수출 증가 품목: 자동차 부품, 철강 등

- 전반적인 수입 감소세에도 한·캐 FTA 관세 혜택에 힘입어 수입 증가

- 천연가스 생산 증가 및 건설경기 회복세에 따라 강관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철강제품의 수입이 증가

 

○수출 하락 품목: 승용차, 무선전화기, 자동차 부품 등

- 세계경기 위축 및 캐나다 달러 가치의 지속적 하락으로 한국산 제품의 가격인상 압박이 거세지면서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성 악화 초래

- 무선통신기기는 중국 등 해외로 한국 기업의 생산공장 이전 확대로 인한 수입 감소로 분석됨.

 

http://www.globalwindow.org/images/upload/borawebedit/2015/6/2/180235/Screenshot_6.jpg

 

○ 한-캐 투자 현황

- (한→캐 투자) 2014년 우리 기업의 캐나다 투자신고는 102, 투자액은 약 10억 달러임.

- (캐→한 투자) 2014년 신고건수는 51, 신고금액은 약 6억 달러

* 비즈니스 도소매 서비스부문이 많은 편


자료출처 : 무역포탈